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전송 방식 정리

전송방식

전송방식은 방향, 타이밍, 개수에 따라서 나눠진다. 방향에는 단방향양방향이 있으며 양방향에는 반이중전이중이 있다. 타이밍에는 동기식비동기식이 있으며 개수에는 직렬병렬이 있다.

방향-단방향 전송

-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.

-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정해져 있다.

예)TV,라디오

방향-반이중 전송

-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, 동시에는 불가능한 방식이다.

-한쪽이 송신을 하면, 다른 한쪽은 수신만 가능하다.

예)무전기

방향-전이중 전송

-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.

-단방향 전송 방식 두개가 결합된 방식

타이밍-동기식 전송

-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전속하는 방식이다.

-두 장치 사이의 클럭 신호를 총해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시간으 일치시키는 방식이다.

장점

-데이터를 묶어서 전송해서 효율성이 높다.

-2400bps이상의 고속 전송을 한다.

단점

-클럭 신호에 대한 중속성이다.

-클럭 신호 교환을 위한 추가 회선이 필요하다.

타이밍-비동기식 전송

-클럭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, 보낼 데이터가 있으면 그때그때 전송하는 방식이다.

-데이터의 양끝을 구분하기 위한 시작비트와 정지비트를 삽입한다.

-데이터를 약 7~8bit로 분할아여 전송한다.

장점

-유연성이 좋다.

단점

-시작 비트와 정지비트, 데이터 분할전송으로 인해 효율성이 낮다.

-지속적인 동기화가 되지 않아 낮은 노이즈에 내성이 있다.

개수-직렬 전송

-한 번에 한 개씩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.

개수-병렬 전송

-한 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